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상생 소비 지원금(상생 페이백) 총정리

by 주진전의 경제학 2025. 8. 28.
반응형

 

 

 

 

 

 

 

 

 

상생 소비 지원금(상생페이백)이란?     

 

 

정부가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한시적으로 시행하는 소비 촉진 지원 제도예요. 쉽게 말해, 작년보다 올해 더 많이 카드를 쓰면, 늘어난 소비액의 일부를 정부가 돌려주는 제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목적

  • 코로나 이후 경기 둔화, 내수 침체 상황에서 국민 소비를 늘려 내수를 살리기 위해 마련된 정책입니다.
  • 특히 지역 상권·자영업자·중소상공인 매출을 올리는 게 가장 큰 취지예요.

 

지원 방식

  • 기간: 2025년 9월 ~ 11월 (3개월)
  • 대상: 만 19세 이상 국민(일부 요건을 갖춘 외국인 포함)
  • 방식:

            1. 본인의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을 기준으로 잡음.

            2. 해당월(예: 2025년 9월)에 카드 사용액이 작년 월평균보다 많으면 초과분의 20% 환급.

            3. 월 최대 10만 원, 총 3개월 30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음.

  • 지급 형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지역 상권에서 쓸 수 있음).

 

예시

  •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 = 100만 원
  • 2025년 9월 카드 사용액 = 150만 원

           → 초과분 = 50만 원 → 20% 환급 = 10만 원(월 한도 최대치)

 

이런 식으로 3개월간 총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상생 소비 지원금(상생 페이백) 총정리
상생 소비 지원금(상생 페이백) 총정리

 

 

 

 

 

 

1) 핵심 한눈요약     

 

 

  • 시행 기간(환급 대상 소비): 2025년 9월 ~ 11월(월별).
  • 계산 방식: (해당 월 카드 사용액 −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의 20%를 환급.
  • 한도: 월 최대 100,000원, 3개월 합계 최대 300,000원.
  • 지급 방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사용 가능 가맹점에서 사용).
  • 신청 기간: 2025.9.15 오전 9시 ~ 11.30 자정,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 kr)에서 신청.
  • 대상: 2024년에 본인 명의 국내 신용·체크카드로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연말 기준) 대한민국 국민 및 일정 요건을 갖춘 외국인.
  • 예산: 국회 1차 추경으로 확정된 약 1조 3,700억 원(≈1.37조 원) 규모.

 

(위 핵심은 정부 보도자료 기준 요약입니다.)

 

 

 

 

 

 

 

 

 

 

2) 포함/제외·유의 거래처     

 

 

  • 포함: 국내에서 매장 내 카드단말기(오프라인)로 승인된 카드 사용액(신용·체크카드), 일부 간편 결제(카드 승인 기준 인정).
  • 제외(주요): 백화점·아웃렛, 대형마트(기업형), 대형 전자판매 직영매장, 국내·외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 대형·직영 매장은 제외. 또한 온라인 쇼핑몰·배달앱 결제(판매자 정보 확인 불가한 경우), 키오스크·테이블오더 등 매장 내 카드단말기 외 방식으로 결제한 금액은 산정에서 제외됩니다. (단, 연 매출 30억 원 초과 중형 슈퍼마켓·제과점 등 일부는 포함될 수 있음.)
  • 해외 사용·현금 결제·계좌이체 등은 제외됩니다.

 

 

 

 

 

 

 

 

 

 

3) 신청·지급 절차와 시기(실무 포인트)     

 

 

  • 1. 신청: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 kr)에서 본인 인증 후 카드 연동·신청. (온라인 신청이 원칙이며, 신청 지원 처 방문 가능)
  • 2. 카드사 계산: 별도 서류 제출은 없음—카드사가 자동 계산해 줌. 신청 후 2일 뒤에 본인의 ‘작년 월평균’이 확인 가능.
  • 3. 지급 시기:

                        9월 소비 증가분 → 10월 15일부터 순차 지급(최대 2일 소요).

                       10월 증가분 → 11월 15일, 11월 증가분 → 12월 15일(원칙).

                       주의: 9월분을 10/15일에 받으려면 10/9까지 신청해야 함. 늦게 신청하면 지급시점이 달라질 수 있음.

  • 4. 지급 방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수령 후 5년간 사용 가능). 지급 후 카드 결제 시 우선 차감되도록 운영 예정.

 

 

 

 

 

 

 

 

 

 

4) 상생소비복권(추가 이벤트) — 핵심     

 

 

  • 응모 방법: 상생페이백 신청자 자동 응모(누리집에서 10월 12일까지 신청하면 자동 응모).
  • 응모 기준: 2025년 8월 1일 ~ 10월 12일 사이, 상생페이백 인정 사용처에서 누적 결제액 5만 원당 복권 1장, 최대 10장(50만 원 이상).
  • 당첨 규모: 총 2,025명, 1등 10명 ×20,000,000원, 총 경품 10억 원 규모. 지급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예정.

 

 

 

 

 

 

 

 

 

 

5) 환급(페이백) 계산—원리 + 숫자 예시(자세히, 단계별)     

 

 

공식:

 

환급액(원) = max(0, (해당월_사용액 − 2024_월평균_사용액)) × 0.20

단, 한 달 환급액은 100,000원 한도, 3개월 합계는 300,000원 한도.

 

 

(A) 아주 간단한 예 — 숫자 그대로

  • 작년 월평균(2024): 1,000,000원
  • 2025년 9월 카드 사용액: 1,500,000원

 

계산(자릿수별로):

  • 1. 차액 = 1,500,000 − 1,000,000 = 500,000.
  • 2. 환급 = 500,000 × 0.20 = 100,000원 → 월 한도 100,000원에 해당(전액 지급).

 

(B) 월별 차등 예시 — 실제 받을 금액

  • 작년 월평균: 1,000,000원
  • 9월: 1,200,000원 → 차액 200,000원 → 환급 200,000 ×0.2 = 40,000원
  • 10월: 1,400,000원 → 차액 400,000원 → 환급 400,000 ×0.2 = 80,000원
  • 11월: 1,800,000원 → 차액 800,000원 → 환급 800,000 ×0.2 = 160,000원, 하지만 월 한도 100,000원 적용 → 지급 100,000원
  • 3개월 합계: 40,000 + 80,000 + 100,000 = 220,000원.

 

(C) '월 한도(100,000원)를 받기 위해 한 달에 얼마나 써야 하나?'

 

공식 역산: (해당월_사용액 − 2024_월평균) × 0.2 = 100,000 → (해당월_사용액 − 2024_월평균) = 500,000 → 해당월_사용액 = 2024_월평균 + 500,000

 

예: 작년 월평균 800,000원인 경우 → 800,000 + 500,000 = **1,300,000원(130만)**을 해당월에 결제하면 한도 10만 원을 받습니다.

 

 

 

 

 

 

 

 

 

 

6) 실무 체크리스트(신청 전 반드시 확인)     

 

 

  • 1. 본인 명의 카드 실적(2024)이 있는지 카드사에서 확인. (없으면 신청 자격 없음).
  • 2.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 kr)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 준비. 첫 주 5부제 확인(출생연도 끝자리).
  • 3. 디지털 온누리 앱 회원가입 — 상품권 수령을 위해 필요함.
  • 4. 결제 방식 확인: 오프라인 매장 카드단말기 결제여부 확인(키오스크·테이블오더·온라인은 제외될 수 있음).
  • 5. 9월분을 10/15에 받으려면 10/9(또는 공지된 마감일)까지 신청 권장.
  • 6. 영수증 및 카드 명세서 보관(이의신청·검증 시 필요할 수 있음).

 

 

 

 

 

 

 

 

 

 

7) 자주 묻는 질문(FAQ)     

 

 

Q: 간편 결제(Samsung/Apple Pay 등)로 결제하면 포함되나요?

 

A: 카드 승인 기준으로 처리되는 간편 결제는 인정됩니다. 단, 결제 방식에 따라 판매자 정보 확인이 안 되면 제외될 수 있으므로 카드사 확인이 필요합니다.

 

 

Q: 배달앱으로 주문했는데 ‘매장으로 가서 결제(만나서 결제)’하면 인정되나요?

 

A: 매장 내 카드단말기를 통한 결제(직접 승인)이면 인정됩니다. 일반적인 배달앱 카드 결제는 판매자 정보 확인 어려움으로 제외됩니다.

 

 

Q: 가족카드(본인 아닌 다른 명의) 실적도 합산되나요?

 

A: 아니요. 신청자는 '본인 명의 카드' 실적이 있어야 하므로 본인 명의 카드 실적 기준입니다.

 

 

Q: 온라인 쇼핑몰에서 산 물건은 전부 제외인가요?

 

A: 대부분의 전자상거래(온라인 쇼핑몰, 배달앱 등)는 제외됩니다. 다만 일부 오프라인 매장 방식으로 결제된 경우 등 예외가 있으므로 본인 카드사·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

 

 

 

 

 

 

 

 

 

 

8) 전략(혜택은 챙기되 ‘무리한 소비’는 금물)     

 

 

  • 필수 생활비(통신·공과금·식비 등)를 카드로 결제하는 것을 우선 고려하면 ‘쓸데없는 지출’ 없이 페이백을 챙길 수 있습니다.
  • 대형 유통·직영 프랜차이즈는 제외되므로, 지역 상점·전통시장 등에서 필요한 소비를 분산하면 정책 취지(영세상권 지원)에도 부합합니다.
  • 복권 응모(추첨)는 덤으로 보되, 당첨 기대치가 낮으니 환급 자체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025.08.25 - [경제학] - 노란봉투법이란? 상징적 의미와 총정리

 

노란봉투법이란? 상징적 의미와 총정리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 상세 해설 1. 용어와 상징적 의미 정식 명칭: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개정안 별칭 ‘노란봉투법’: 2014년 쌍용자동차 해고·파

progress-joo.com

 

 

 

 

 

 

9) 원하시면 제가 바로 계산해 드립니다(시뮬레이션 양식)     

 

 

아래 중 택하거나 본인 수치를 보내주세요. 제가 바로 계산해서(월별 환급 예상·총합·언제 지급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추정치):

  • A: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을 알려주기(예: 100만 원)
  • B: 9/10/11월 각 월 예상 지출액을 알려주기(각 월별)
  • C: 둘 다 모를 경우 → 제가 대표 시나리오(월평균 80만·100만·150만 등)로 표를 만들어 드리기

원하시면 지금 세 가지 대표 케이스(월평균 80만·100만·150만)로 시뮬레이션 표를 바로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어떤 걸 원하십니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