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월 60만 원으로 5억 원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by 주진전의 경제학 2025. 8. 6.
반응형

 

 

 

 

 

 

 

 

 

 

 

 

아래는 “한 달 60만 원으로 종잣돈 5억 원을 만드는 전략”을 실제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자세하게, 단계별로 설명드린 것입니다. 

 

 

 

1단계: 왜 5억 원인가?     

 

 

‘5억’이라는 돈은 많은 이들이 노후 준비나 경제적 자유를 위한 기준선으로 삼는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은퇴 후 연 4% 수익률을 내는 자산을 5억 원 보유하고 있으면, 매년 2,000만 원, 즉 매월 약 166만 원 정도의 생활비가 자동으로 생깁니다.

 

이 정도면 국민연금과 병행해 충분한 노후 생활이 가능합니다. 즉, 5억 원은 단순히 돈이 아니라 ‘선택권을 주는 자산’입니다. 회사에 얽매이지 않고 살아갈 자유, 위험을 감내하면서 창업을 시도해 볼 자유, 자녀 교육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자유를 뜻합니다.

 

 

 

 

 

월 60만 원으로 5억 원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월 60만 원으로 5억 원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

 

 

 

 

 

 

2단계: 한 달 60만 원의 힘     

 

 

한 달에 60만 원은 하루 약 2만 원. 버스비 대신 도보를 걷거나, 외식 한 번 줄이면 만들 수 있는 금액입니다. 이 돈을 단순히 소비하지 않고 투자한다면, 시간이 흐를수록 복리의 힘이 작동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매달 60만 원씩 20년을 모으면 총 1억 4,400만 원을 모으게 됩니다.

 

이건 단순 저축입니다. 하지만 이 돈을 연 8% 수익률로 투자하면, 20년 후에는 약 3억 원에 가까워지고, 22년 8개월 후엔 5억 원에 도달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단 하나: 중단하지 않는 것입니다. 복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가속도처럼 불어나기 시작하면 폭발적입니다.

 

 

 

 

 

 

 

 

 

 

 

 

 

 

 

3단계: 복리란 무엇인가?     

 

 

복리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처음 1년엔 원금에만 이자가 붙지만, 2년째부터는 그 이자까지 포함해 새로운 이자가 붙습니다. 이 현상이 10년, 20년, 30년 지속되면, 시간은 ‘나를 대신해 돈을 굴려주는 파트너’가 됩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매년 720만 원(60만 원 x 12개월)을 8% 수익률로 투자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0년 후에는 약 1,130만 원의 수익이 생깁니다. 하지만 20년 후에는 약 2억 9천만 원, 그리고 23년이 되면 5억 원에 도달하게 됩니다.

 

복리는 처음엔 작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급격히 커지는 힘을 가집니다. 그래서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하고, 중단하면 불리합니다.

 

 

 

 

 

 

 

 

 

 

 

 

4단계: 수익률에 따른 시간 차이     

 

 

당신이 어디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도달 시간은 크게 달라집니다. 예금/적금처럼 안전하지만 수익이 낮은 상품에 투자하면, 연 2% 수준의 수익률밖에 기대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5억 원을 모으는 데 약 38년 이상 걸립니다.

 

안정적인 채권형 펀드나 TDF 같은 중위험 상품을 활용해 연 5% 수익률을 얻는다면, 약 28~29년 만에 5억 원에 도달합니다. 미국 S&P500이나 나스닥 100 ETF 같은 주식형 자산에 장기 투자해서 연 8% 수익률을 꾸준히 유지한다면, 22년 8개월 만에 5억 원이 가능합니다.

 

좀 더 능동적으로, 하락장에서 저가매수하고, 리밸런싱 하며 고배당주나 성장주 ETF를 잘 조합해 연 10% 수익률을 낼 수 있다면, 20년 이내에도 가능합니다.

 

결론은 이렇습니다. 수익률이 2~3% 높아질수록, 목표 달성 시기는 5년 이상 빨라집니다. 따라서 돈을 얼마 모으느냐도 중요하지만, 어디에 투자하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5단계: 투자 전략 – 실제 실행 방법     

 

 

① 초보자라면

 

우선은 원금 손실이 적은 상품부터 시작해 보세요.

  • CMA통장에 매달 60만 원 자동이체
  • 6개월에 한 번씩 적립금액으로 채권형 ETF 또는 TDF2050 같은 펀드 매수
  • 수익률이 낮더라도 투자 습관 형성이 중요합니다

 

 

② 투자에 익숙해지면

 

ETF를 활용한 분산투자에 도전해 보세요.

  • S&P500 ETF(예: VOO, IVV)를 주축으로 매달 일정 금액을 적립식으로 매수
  • 나스닥 100 ETF(예: QQQ)로 일부 성장성 추가
  • 고배당 ETF(SCHD, VYM)나 리츠 ETF(VNQ)로 현금 흐름 확보
  • 6개월 또는 1년에 한 번 비중을 조정하며 리밸런싱

 

이런 전략으로 평균 연 8%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단기 하락장에서는 마이너스가 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론 우상향입니다. 이런 하락장이야말로 추가 매수 기회입니다. 매월 일정 금액을 투자하면 평균 단가가 낮아져 결국 수익률이 좋아집니다.

 

 

 

 

 

 

 

 

 

 

 

 

 

6단계: 시간 줄이기 – ‘1억 만들고 굴리기 전략’     

 

 

장기전도 좋지만, 전략적으로 시간을 더 줄일 수도 있습니다.

  • 먼저 10년간 월 60만 원씩 투자해서 약 1억 원을 만듭니다.
  • 이후 이 1억 원을 거치식으로 연 8% 수익률로 굴립니다.
  • 그러면 약 11년 후 5억 원이 됩니다.

즉, 이 전략을 사용하면 총 21년 만에 5억 달성이 가능해집니다.

 

그 외에도 이런 방법으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 월 투자금을 80만 원 이상으로 늘리기
  • 연말정산 환급금이나 상여금을 추가 투자
  • IRP, 연금저축 등 세금 절감형 상품 활용해서 실질 수익률 올리기
  • 자동이체, 자동매수 설정해서 ‘강제 투자 루틴’ 만들기

 

 

 

 

 

 

 

 

 

 

 

 

7단계: 중요한 투자 습관     

 

 

성공적인 장기 투자를 위해 꼭 필요한 습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을 예측하려 하지 말 것
  • 하락장이 왔을 때 패닉 매도하지 말 것
  • 꾸준히 자동으로 매수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할 것
  • 연 1~2회 자산 구성 점검 및 비중 조절(리밸런싱)
  • 수익률보단 지속 가능성을 우선시할 것

 

 

 

 

 

 

2025.08.01 - [경제학] - 부부 둘다 국민연금 받다가 한 사람 사망하면 ?

 

부부 둘다 국민연금 받다가 한 사람 사망하면 ?

부부가 국민연금을 함께 받다가 한 사람이 사망했을 때, 남은 배우자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고, 각 선택이 재정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가장 자세하게,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기

progress-joo.com

 

 

 

 

 

 

마무리 정리     

 

 

  • 한 달 60만 원은 작은 돈 같지만, 꾸준함과 복리를 활용하면 5억 원을 만들 수 있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 중요한 것은 얼마나 많이 투자하느냐보다, 얼마나 오래, 꾸준히 투자하느냐입니다.
  • 그리고 시간은 당신 편입니다. 조금이라도 일찍 시작한다면, 훨씬 더 빨리 자유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